한국인의 밥상.E667.240718 > 매회) 시사 줄거리
댓글
0
조회
114
추천
0
비추천
0
07.18 21:35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도
꼿꼿하게 절개를 지키던 선비처럼
옛 모습을 간직하며 살아가는 곳, 영주.
물 좋고 공기 좋은 영주는
오랫동안 재래콩인 ‘부석태’의 명맥을 이어왔고,
척박한 땅에서 잘 자라는 메밀을 이용한 음식이 발전했다.
오래된 풍경만큼 세월의 깊이가 남아있는 영주의 음식들
귀한 맛의 유산이 되어 전해오는 영주의 식문화 속에서
오래될수록 더 깊어지고, 새로워지는 의미를 발견한다.
■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사이, 추억의 맛이 흐른다 – 경상북도 영주시 관사골 :
경상북도 최북단, 소백산 자락에 안기듯 자리 잡은 영주. 오랜 전통시장 골목을 차지한 주인공은 바로 문어다. 문어는 영주의 잔칫상과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른다는데, 어떻게 이 깊은 산간 내륙지역에서 문어 음식이 발달했을까?
그 중심에 영주역이 있다. 1942년 개통한 영주역은 중앙선, 영동선, 경북선이 만나는 곳으로 동해의 문어가 열차에 실려 영주역으로 모여들었던 것, 수많은 산물과 사람들이 모여들다 보니 크고 작은 장이 섰고, 골목마다 가게가 생겨났다.
1973년, 영주역이 새로운 곳으로 자리를 옮기고 지금은 터만 남은 옛 영주역 인근에는 그 시절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관사골이 있다. 역무원이 생활하던 관사가 들어서고, 관사촌 주변으로 돈을 벌기 위해 모여든 가난한 사람들이 산자락에 자리를 잡으면서 마을이 생겼다. 50여 년 마을 사람들의 머리 손질을 하던 살아온 이발소도, 장날이면 10미터가 넘는 긴 줄이 섰다는 오래된 기름집까지, 옛 영주역의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관사골.
가파르고 좁은 흙길을 오르내리며 살던 관사골마을 사람들. 석탄을 실은 기차가 지나가면 선로에 떨어진 석탄 부스러기를 주워 불을 때서 국을 끓이고 밥을 해 먹던 기억이 생생하다. 주민들이 함께 운영하는 마을 떡방에선 여름이면 쌀가루에 막걸리를 넣고 발효시킨 기지떡(증편)을 만들고, 끼니 겸 간식 겸 만들어 먹던 호박범벅과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던 배추전, 복날이면 동네 사람 모두 모여 부추를 고춧가루에 버무려 듬뿍 넣고 얼큰하게 끓여 먹던 닭개장까지, 힘들고 고단했지만 좋은 이웃들과 지난날을 추억으로 간직하며 사는 관사골 사람들의 오래된 밥상을 만난다.
■ 고난을 딛고 태평성대를 꿈꾸다, 메밀묵과 태평초 –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
영주에는 오래된 메밀묵집들이 많다. 영주동에 자리 잡은 한 메밀묵 노포도 55년째 메밀을 직접 갈아 묵을 쑤고 있다. 아들과 딸까지 2대째 옛 방식 그대로 메밀묵을 쑤고 있는 이 노포의 대표 음식은 메밀묵밥. 메밀묵을 썰어 그릇에 담고 김치, 오이 등 고명을 얹어 육수를 부어 만드는 메밀묵밥과 슴슴하면서도 깊은 맛을 품은 메밀묵에는 영주의 아픈 역사가 숨어있다.
조선 세조 때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실패로 돌아간 정축지변(丁丑之變)으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고, 그 피가 죽계천을 따라 흐르다 멈춘 곳이라 해서 이름이 붙은 곳이 안정면 동촌1리, ‘피끝마을’이다. 정축지변 당시, 난리를 피해 산으로 숨어들었던 사람들이 척박한 땅에서 농사를 짓기 시작한 게 메밀이었고, 살기 위해 만들어 먹던 음식이 메밀묵이었다.
영주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메밀 음식도 있는데, 돼지고기와 김치를 볶아 끓인 찌개에 메밀묵을 넣어 만드는 음식이다. 고난의 시기를 견디던 백성들이 태평성대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담아 붙인 이름이 ‘태평초’다.
버릴 것 없는 메밀은 어린 순은 나물로 해 먹고, 열매로는 묵을 쑤어 먹고, 껍질은 베개에 넣어 사용하기 좋았다. 메밀묵을 쑤는 날이면 바닥에 눌어붙은 누룽지가 맛있는 간식이 되어주고, 쑤어놓은 메밀묵의 겉이 마르면 묵의 껍질 부위만 잘라내 무쳐 먹기도 했다. 여전히 정축지변 당시 지어진 성황당을 지키며 마을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며 사는 피끝마을 사람들이 모두가 평안한 세상을 바라는 마음을 담은 메밀 밥상을 차려낸다.
■ 부석태를 아니껴? 노래하는 콩할매들의 부석태 이야기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
봉황산 자락에 자리 잡은 부석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아름다운 천년고찰. 영주 하면 제일 먼저 떠올리는 곳이기도 하다. 땅 위에 뜬 돌이라는 뜻의 ‘부석(浮石)’이라는 이름을 가진 또 하나의 주인공이 있다. 오랫동안 부석면 지역에 전해오는 재래콩, ‘부석태’다.
‘콩 한 쪽도 나눠 먹는다’는 속담이 부석태를 보고 생겼다고 할 만큼 부석태는 일반 콩보다 크고 굵은 데다 맛도 고소하다. 매년 수확한 콩 중에서 좋은 씨 콩을 받아 부석태 농사를 짓고 있는 소천 1리 주민들에게도 부석태는 최고의 살림 밑천이자 오래된 식재료이다.
부석태는 청국장을 띄우기에 제격인 콩. 콩을 무르게 삶아 볏짚을 덮어 2~3일 정도 띄우면 냄새도 덜 나고, 진도 많이 나와 청국장찌개를 끓이면 그 맛과 영양이 다른 콩과는 비교 불가.
두부를 만들 때도 부석태가 한 수 위란다. 부석태를 불려 맷돌에 갈아 솥에서 끓이고 거르고 다시 간수를 넣고 끓여 거르고 굳히기까지. 정성 없이는 만들기 힘들지만 부석태로 두부를 만들어 놓으면 잔칫날이 따로 없다.
부석태를 농사지어 청국장 띄우고 두부 만들며 살아온 소천1리 주민들은 요즘 ‘콩할매합창단’으로 더 유명하다. 농사지으며 살아온 이야기를 가사로 만들어 부른 ‘콩 타령’으로 무대에 서기 시작한 지 6년째. 평생 누구 엄마, 누구 아내로 살던 할매들이 자신의 이름으로 당당한 합창단원이 된 것이다.
콩을 삶은 물을 따로 받아 식혀두었다가 조청 대신 무말랭이에 넣어 무치는 ‘무말랭이콩물무침’은 콩할매들의 오랜 삶의 지혜가 담겨있다. 콩가루를 풀어 넣고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가운데 김치를 넣고 가만히 기다려 만드는 김치콩국에 담긴 어머니의 그리움까지. 오래 익어 더 깊어진 부석태 장맛처럼 오랜 삶의 시간을 고스란히 품고, 다시 얻은 이름으로 새로운 추억을 쌓으며 살아가는 ‘노래하는 콩할매’들의 부석태 밥상을 만난다.
인기 연관 검색어 : 한국인의
다큐/시사 매회 줄거리
한국인의 밥상.E676.241003
["밥상에서 배웠어요" 한국인의 정(情)] 처음 조선에 도착한 선교사들에게 우리 밥상은 신세계였다. 산처럼 쌓은 고봉밥도 작은 접시 위의 다양한 반찬도 특이하기만 했는데, 그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음식 속에 담긴 조선인의 마음이었다. 손님을 환대하는 전통은 지금까지 이어지는데, 거기에 한류 열풍이 더해지면서 한식을 사랑하는 외국인이 괄목할 만큼 늘었다. … ---------------------------------------------------------------------------------------------- 한국인의 밥상.E675.240926 [쉼 그리고 맛의 느낌표, "우리는 숲에 산다"] 햇살의 속삭임, 바람의 냄새, 고요한 소란들이 마음을 깨우는 그곳, 자연의 시간을 오롯이 간직한 채 수많은 생명들의 보금자리가 되어주는 숲. 사람(人)이 나무(木)에 기대어 있는 모습이 ‘쉬다’는 뜻의 한자 ‘휴(休)’가 되듯 사람들은 숲에서 저마다 ‘쉼’의 시간을 찾는다. 인생의 쉼표를 찾아 숲으로 떠난 … ---------------------------------------------------------------------------------------------- 추석 기획 한국인의 밥상.E674.240919 [추석기획 - 사촌보다 가까운 내 이웃을 소개합니다] 새로운 가족 형태와 문화로 삶이 변화됐지만 여전히 우리는 ‘밥상’에 둘러앉아 정담을 나누고 추억을 나누면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가 된다. 밥상을 나누는 이웃은 도회로 떠난 가족의 빈자리를 채워주고 이제는 만날 수 없는 나의 어머니, 아버지가 되기도 한다. 제각각 그 모습은 다르지만 오래도록 기억하는 맛으로… ---------------------------------------------------------------------------------------------- 한국인의 밥상.E673.240912 [바다가 내어준 텃밭, 갯마을 밥상] 바다와 육지 사이에는 또 하나의 세상이 있다. 수많은 해양 생물이 사는 생명의 천국이자 갯마을 사람들의 오랜 삶의 터전인 갯벌이다. 다양한 생명체를 품고 있는 갯벌은 갯마을 사람들에게 바다가 내어준 풍요로운 텃밭이다. 갯마을 사람들은 물때라는 시계에 맞춰 살면서 갯벌이 내어주는 풍성한 해산물로 그들만의 음식문화를 만들어… ---------------------------------------------------------------------------------------------- 한국인의 밥상.E672.240905 “반가워요. 여전히 거기 있어서” 노포의 참맛 그리운 시절의 추억이 어렴풋이 떠오르는 곳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은, 노포의 소박하고 정겨운 밥상을 만나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긴 세월 같은 자리에서 한결같음을 유지하는 곳이 있다. 이름만으로 추억을 자극하는 노포다. 최근엔 젊은 층에서도 오래된 가게의 가치가 재조명받고 있다는데 세월의 … ---------------------------------------------------------------------------------------------- 한국인의 밥상.E671.240829 기억을 걷다, 그리움을 맛보다 자고 일어나면 사라지고, 새로운 것들이 생기는 시대 풍경도, 사람살이도 빠르게 변해간다 모든 것은 지나가고, 지나간 것은 모두 그리워지는 법 지나온 시간을 주름살로 새기고 점점 낡아지고 잊혀지며 사라져가는 것들이 있다 오랫동안 우리 밥상에 올랐지만 점점 사라져가고 맛보기 힘들어진 그래서 더 귀하게 느껴지는 음식들! 뜨겁게 살아… ---------------------------------------------------------------------------------------------- 한국인의 밥상.E670.240822 맛味, 스며들다 - 숨은 고수들의 초대 뛰어난 솜씨와 경지를 취했음에도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오히려 몸을 낮추어 주변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어디에서나 볼 수 있지만, 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숨은 고수들의 초대 고수들의 밥상, 그 맛味에 스며들다! 한국인의 밥상에는 수많은 고수들이 곳곳에 숨어있다. 그는 소소한 밥 한 끼 정성껏 지어내… ---------------------------------------------------------------------------------------------- 한국인의 밥상.E669.240815 [광복절 기획] “한 끼 한 끼가 눈물겹다” 그녀들의 독립운동 밥상 주어진 고난 속에서 스스로 강인한 삶을 선택한 독립운동가문의 여인들. 누구의 아내, 누구의 딸, 누구의 며느리가 아닌 여성독립투사로 살아온 그녀들의 전쟁 같은 삶과 밥상 엄혹한 시대에도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쉼 없이 싸운 독립투사들. 그 영웅들의 뒤에는 그들을 뒷바라지하고 가족과 공동체를 … ---------------------------------------------------------------------------------------------- 한국인의 밥상.E668.240725 “여기가 명당이로세!” 우리 마을 여름 건강 밥상! 여름이라는 깔딱고개를 넘기 위해 잠시 쉬어가는 지혜! 우리 마을 여름 명당에서 만나는 기운 펄펄나는 건강 밥상, 여름의 진수를 맛보다! 더위에 맞서지 않고 잠시 피하는 피서(避暑)는 우리 민족이 지켜온 오랜 풍습이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넘기기 어려운 계절이 여름과 겨울인데, 잠시 더위와 추… ---------------------------------------------------------------------------------------------- 한국인의 밥상.E667.240718 영주의 오래된 풍경, 맛의 유산을 품다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도 꼿꼿하게 절개를 지키던 선비처럼 옛 모습을 간직하며 살아가는 곳, 영주. 물 좋고 공기 좋은 영주는 오랫동안 재래콩인 ‘부석태’의 명맥을 이어왔고, 척박한 땅에서 잘 자라는 메밀을 이용한 음식이 발전했다. 오래된 풍경만큼 세월의 깊이가 남아있는 영주의 음식들 귀한 맛의 유산이 되… ---------------------------------------------------------------------------------------------- 한국인의 밥상.E666.240704 산골 아낙, 무더위 고개를 넘다 '삼복지간에는 입술에 붙은 밥알도 무겁다'는데 '그깟 더위쯤이야!' 경상남도 내륙, 산골 아낙들의 밥상 위엔 무더위를 피해 가는 지혜가 있다. 고산지에서만 나는 제철 특산물의 화려한 변신, 손끝에서 손끝으로 전해지는 건강 요리 지침서! 백두대간의 소백산맥이 지나는 경상남도 내륙지방은 유난히 일교차와 연교차가 심한 데다 여름엔… ---------------------------------------------------------------------------------------------- 한국인의 밥상.E665.240627 [자연이 준 기적의 한 방울, 여름을 깨우다] 긴 기다림이 빚어내는 발효의 진수, 식초는 조상들의 오랜 지혜와 자연이 준 선물이다. 음식의 맛과 향을 살려내는 신맛의 마법이 펼쳐진다. 달고 짜고 매운 음식에 길들었던 입맛도 무더운 여름이 되면 저절로 찾게 되는 신맛. 그 중심에 여름철 건강을 지키는 최고의 재료인 식초가 있다. 그런데 우리는 식초에 대해 얼… ---------------------------------------------------------------------------------------------- 한국인의 밥상.E664.240620 “언제든 오세요” 충전의 섬이 부른다! 저 멀리 섬이 거기 있는 이유- 바쁜 일상과 거리두기가 필요한 당신, 섬사람들의 치열한 삶과 싱싱한 것으로 차려낸 섬 밥상이 위로를 전하는 충전의 섬이 지친 당신을 부른다! 섬은 특별하다. 뭍을 떠난다는 기분 때문일까? 팍팍한 삶을 짊어진 현대인들에게 섬은 위안과 안식을 얻는 산소 같은 곳이다. 게다가 고립된 섬에서 … ----------------------------------------------------------------------------------------------
|
이 게시판에서 관련된 자료 목록
한국인의 밥상
----------------------------------------------------------------------------------------------
한국인의 밥상.E676.241003
|